의료

'신종플루' 사실상 대책이 없다.

파랑새호 2009. 8. 24. 17:41

 

 

정부에서 밝힌 유일한 대책이란 치료제와 백신을 확보하겠다는 것이다. 정부의 고위공직자가 백신을 구하기 위해 외국출장을 갔다. 다만 얼마나 확보할지는 미지수이다. 이미 올해분 생산량의 전부에 대해서는 선진국에서 확보해 놓고 있는 상태라는 이야기가 공공연하게 들린다. 얼마나 우리나라에 배정될지 모른다. 그나마 신종플루 관련 예산은 깎였다가 긴급하게 다시 편성했다.

 

정부는 보건소에서의 의심환자 외래 검사나 치료를 중단시켰다. 보건소에 가보라. 거점병원으로 가서 검사받고 치료하라는 이야기가 전부이다. 각 병원에서는 병원들마다 신종 플루로 인해 다른 환자들에게 영향을 미치지 않을까 걱정하고 있다. 우리나라 최고의 병원이라고 주장해온 서울대학병원에서는 신종플루 검사와 치료를 하지 않겠다고 버티고 있다. 신종플루가 대 유행으로 변할 것이 확실한 가을과 초겨울의 비상상황이 어떠한 결과를 초래할지 누구도 예측하지 못하고 있다. 사실상 현재의 상황에서 신종플루 감염자가 얼마나 될지에 대해서도 확인할 수 없다. 외국여행이 신종플루의 감염경로라는 생각을 아직까지 하고 있다면 그는 분명 ‘머리’가 없는 사람이다.

 

치료거점병원 지정은 국가가 시행해야할 부담을 고스란히 일반 병원에 전가하는 행위이다. 특히나 치료거점병원은 당초 입원환자를 중심으로 이야기되다가 어느새 신종플루 외래검사와 치료를 할 수 있는 유일한 병원으로 변해버렸다. 이러한 방식은 서울대병원의 사례에서와 같이 일반병원들이 신종플루에 대한 공동대응을 어렵게 만든다. 따라서 신종플루에 대한 검사와 치료약 제공은 모든 의료기관에서 시행되어야 한다. 지금과 같은 방식은 치료거점병원으로 신종플루 의심환자를 몰리게 하고, 일반환자는 치료거점병원 이용을 기피하게 만드는 결과를 초래할 뿐이다. 의료기관의 90%가 민간의료기관인 우리나라에서 국가가 스스로 민간의료기관을 국가비상사태에 동원하면서 정작 대책은 전무한 상태인 것이다. 입원환자에 대해서는 철저하게 공공의료기관을 중심으로 시행하고, 공공의료기관의 병상수요가 한계에 도달한다면 신종플루 입원에 필요한 장비나 시설에 대해 또 그로인한 경영상의 여러 문제점에 대한 대책을 함께 제시하면서 일반병원으로 이전시켜야 마땅하다.

 

신종플루는 특히 노인과 어린이에게 치명적이다. 그만큼 이들에 대해선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 대책을 세분화하고 구체화해야 한다. 아직까지 이런 자료는 나와있지 않다. WHO에 의하면 예전에(1918년 독감, 1957년 독감, 1968년 독감 등) 대 유행했던 독감바이러스의 경우 현재의 신종플루와 같은 수준의 확산이 이루어지기 까지 ‘6개월’이 소요되었던 반면, 신종플루는 단 ‘6주’의 시간이 경과했을 뿐이다. 7월말까지 전세계에서 신종플루 바이러스에 94,500명이 감염되었고, 대개 500명이 사망했다. 물론 이같은 수치는 7월말 수치에 ‘불과’한 것이다.

 

환경의 변화, 생활양식의 변화 등으로 앞으로 어떠한 질병이 인류에게 대유행을 초래하며 영향을 미칠지 모른다. 조류독감, 사스, 신종플루 등이 구체적으로 이미 발생했거나 진행중이지 않은가? 국가보건의료체계는 다른 무엇에 비해 우선해야 하는 정책이다. 탱크가 많고, 핵무기가 있으면 무엇하겠는가? 위성발사를 해서 지상에 있는 사람 얼굴의 점까지 구별하면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 신종유행질병은 그 모든 첨단무기를 무용지물로 만들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