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르크스주의

혁명과 반혁명, 1917~2017(번역문)

파랑새호 2017. 8. 13. 13:09

Revolution and Counterrevolution, 1917.2017 | John Bellamy Foster | Monthly Review. Vol. 69. No. 3. July~August 2017

혁명과 반혁명, 1917~2017/

 

The Russian Revolution of 1917 erupted on the fiftieth anniversary of the publication of Karl Marx’s Capital. From the start, the October Revolution seemed both to confirm and contradict Marx’s analysis. He had envisioned a working-class-based socialist revolution breaking out in the developed capitalist countries of Western Europe. But the 1882 preface to the Communist Manifesto, written a year before his death, amended this by pointing to a revolution in Russia as a possible “signal for proletarian revolution in the West.”1) Yet although a worker-peasant revolution under Marxist leadership triumphed in Russia in 1917, Russia was still a largely underdeveloped country, and the revolutionary uprisings in Germany and Central Europe which followed were weak and easily extinguished.

1917년의 러시아혁명은 칼 마르크스의 [자본론]발간 50주년 기념해였던 1917년에 일어났다. 처음부터 10월 혁명은 마르크스의 분석을 확증하기도 했고, 모순되기도 했다. 그는 서구유럽과 같은 선진자본주의 국가에서 노동자계급이 주도하는 사회주의 혁명이 발생할 것으로 예견했다. 그러나 1882년 사망 직전에 작성한 [공산당 선언]서문에서 서구 프롤레타리아 혁명의 신호로서 러시아 혁명을 언급하면서 이런 견해를 수정했다.1) 1917년 마르크스주의자들이 지도하는 노동자-농민 동맹의 혁명이 러시아에서 성공했다고 해도, 러시아는 아직 전반적으로 저발전된 국가였으며, 이어서 발생했던 독일이나 유럽중심부의 혁명적 봉기는 대단히 취약했다.

 

In these circumstances, Soviet Russia, completely isolated, faced a massive counterrevolution, with all the major imperialist powers intervening on the side of the White Russian forces in the Civil War. “Socialism in one country,” the basic defensive posture of the USSR throughout its history, was thus to a large extent a geopolitical reality imposed on it from outside. This was evident beginning with the Treaty of Brest-Litovsk, in which Russia was forced to give up much of the territory of the Tsarist Empire, followed soon after by the Treaty of Versailles, which sought to isolate it still further.

이런 상황에서 소련은 완전히 고립되어 광범위한 반혁명에 직면했으며, 모든 주요 제국주의 세력들은 당시 러시아 반혁명 군대를 통해 개입했다. 전체 역사를 통해서 소련의 기본적인 방어 태세 인 "일국 사회주의"는 큰 틀에서 보면 외부에서 강요한 지정학적 현실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것은 분명히 브레스트 - 리토프스크 (Brest-Litovsk)조약의 강요로 시작되었으며, 러시아는 차르 제국 제국의 영토 대부분을 포기해야 만 했고, 이후 얼마 안있어 체결한 베르사유 조약을 통해 더욱 고립되었다.

 

It was imperialismot in its generic sense, encompassing the whole history of colonialismut in its connection to the monopoly stage of capitalism, as V. I. Lenin employed the term, that constituted the differentia specifica of twentieth-century capitalism, determining the conditions of both revolution and counterrevolution. Already by the late nineteenth century, the contest over colonies that had shaped much of European conflict since the seventeenth century had been replaced by a struggle of a qualitatively new kind: competition between nation-states and their corporations, not for imperial zones, but for actual global hegemony in an increasingly interconnected imperialist world system.2) Henceforth revolution and counterrevolution would be interrelated at the level of the system as a whole. All revolutionary waves, concentrated in the periphery where exploitation was most severe, since intensified by the extraction of surplus by the metropolitan powers, were revolts against imperialism, and were confronted by imperialist counterrevolution, organized by the core capitalist states.3) Complicating this was the fact that a privileged sector of the working class in the advanced capitalist states could be seen as benefitting indirectly from the drain of surplus from the periphery, giving rise to a “labor aristocracy,” a phenomenon first singled out Frederick Engels and later theorized by Lenin in his Imperialism, the Highest Stage of Capitalism.4)

제국주의는 레닌이 식민지주의의 전체 역사를 아우르는 포괄적 의미가 아니라, 독점단계인 20 세기 자본주의의 차별화에 적용하고자 사용했던 용어이며, 혁명과 반혁명 모두를 결정할 수 있는 요인이었다. 19 세기 후반에는 이미 17세기 이후 유럽의 분쟁에서 상당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던 식민지에 대한 경쟁은 질적으로 새로운 종류의 투쟁으로 바뀌었다. 바로 국민 국가들과 해당 국가에서 성장한 기업들 간의 경쟁이었으며. 이는 제국주의 통치 지역에 대한 경쟁이라기보다는, 점점 더 긴밀하게 연결된 세계 체제에서 헤게모니를 차지하기위한 투쟁이었다.2) 이리하여 혁명과 반혁명은 전체적으로 시스템의 수준에서 상호 긴밀한 연관을 갖게 되었다. 모든 혁명 운동의 고양은 착취가 가장 심각했던 주변부에 집중 발생하였으며, 이는 제국주의 대기업의 잉여 착취에 따른 반제 혁명투쟁이었고, 곧 자본주의 핵심 국가들이 조성한 제국주의 반혁명에 직면했다.3) 이것을 복잡하게 만든 것은 엥겔스가 처음으로 언급했던 현상으로서, 나중에 레닌이 [제국주의론]에서 서술한 선진 자본주의 국가 노동 계급의 특권층인 노동귀족의 등장과 관련이 있었다.4)

 

Still, in 1967, a half-century after October 1917 and a hundred years after Capital, it was not unreasonable to assume, amid the Vietnam War and the Cultural Revolution in China, that world revolution would gradually gain the upper hand, and that the revolutions that had occurred, not only in Russia, but also in China, Cuba, and elsewhere, were irreversible. The twentieth century had already proven itself the bloodiest in human history. Yet it was also a period of enormous advances in human liberation. If the forces of world counterrevolution were gathering, their victory, even in the short run, was far from certain. As Herbert Marcuse declared in the opening pages of his 1972 Counterrevolution and Revolt:

191710월 혁명으로부터 반세기, 그리고 자본론 발간 이후 백년이 지난 1967년 까지도 베트남 전쟁과 중국 문화 혁명의 와중이었으나, 세계 혁명이 점차적으로 우세를 점할 것이라고 추측하는 것은 그다지 터무니없는 생각은 아니었다. 러시아뿐만 아니라 중국, 쿠바 및 다른 지역에서도 이미 발생한 혁명은 돌이킬 수없는 것이었다. 20 세기는 이미 인간 역사상 가장 피를 많이 흘린 시대였다. 또한 인간 해방에서 엄청난 발전의 시기이기도 했다. 만일 세계 반혁명 세력이 모여 있었다면, 단기적으로도 승리는 확실하지 않았을 것이다. 허버트 마르쿠제 (Herbert Marcuse)1972 [반혁명과 봉기]의 시작 페이지에서 다음과 같이 주장했다.

 

 

The Western world has reached a new stage of development: now, the defense of the capitalist system requires the organization of counterrevolution at home and abroad. In its extreme manifestations, it practices the horrors of the Nazi regime. Wholesale massacres in Indochina, Indonesia, the Congo, Nigeria, Pakistan, and the Sudan are unleashed against everything which is called “communist” or which is in revolt against governments subservient to the imperialist countries. Cruel persecution prevails in the Latin American countries under fascist and military dictatorships. Torture has become a normal instrument of “interrogation” around the world. The agony of religious wars revives at the height of Western civilization, and a constant flow of arms from the rich countries to the poor helps to perpetuate the oppression of national and social liberation. The counterrevolution is largely preventative and, in the Western world, altogether preventative. Capitalism reorganizes itself to meet the threat of a revolution which would be the most radical of all historical revolutions. It would be the first truly world-historical revolution.

서구 세계는 새로운 발전 단계에 도달했다. 자본주의 체제 방어를 위해 이젠 국내외에서 반혁명을 조직한다. 나치 정권의 참혹한 실태는 현실 속에 구체적으로 시행된 반혁명의 극단적인 사례이다. 또 인도차이나, 인도네시아, 콩고, 나이지리아, 파키스탄, 수단의 집단 학살은 소위 공산주의적인 모든 것에, 혹은 제국주의 국가에 종속된 정부에 대항하는 모든 세력들에 대한 무조건적인 반대를 촉발시켰다. 파시스트 군사 독재 체제 하에 있는 라틴 아메리카 국가에서는 잔인한 탄압이 횡행하고 있다. 고문은 전 세계에서 "심문"을 위한 정상적인 과정으로 통하고 있다. 종교 전쟁의 고통이 서구 문명의 가장 높은 수준에서 되살아나고, 선진국에서 후진국으로 끊임없이 무기를 공급하여 후진국의 사회, 민족해방운동을 탄압하고 독재체제를 유지 온존하는 데 도움을 주고 있다. 반혁명 운동은 대체로 예방적이지만, 서방 세계에서는 거의 백프로 예방적인 것이다. .... 자본주의는 모든 역사적 혁명중에서 가장 급진적인 혁명의 위협에 맞서 재편성되고 있다. 진정으로 처음 발생하는 역사적 세계 혁명일 것이다.

 

 

Today, a hundred years after the Russian Revolution and a century-and-a-half after Capital, conditions have changed. It would appear that the clock has been turned back, and the forces of global counterrevolution have triumphed. Most of the emancipatory movements that seemed to be gaining ground in the 1960s, primarily in the periphery, have been roundly defeated.

올해는, 러시아 혁명이 끝난 지 백 년이며, [자본론]이 발간된 지 한 세기 반이 지난 상황으로 조건이 변하고 있다. 시계가 거꾸로 돌아 갔으며, 세계적으로 반혁명 세력이 승리 한 것처럼 보인다. 주로 1960 년대에 뿌리를 내린 것으로 보이는 주변부 해방 운동의 대부분은 크게 패배했다.

 

Nevertheless, the material contradictions of capitalist developmentarticularly in the form of the planetary ecological emergencyre in many ways more serious than ever before. Since the Great Financial Crisis of 20079 pulled the veil away, it is abundantly clear that the present phase of global monopoly-finance capital, with its unprecedented levels of inequality, its stagnation and instability, its civilization-destroying bellicosity, its destruction of the environment, and its new forms of political-economic reaction, threatens the future not only of this generation, but that of all generationshe very survival of humanity. As Eric Hobsbawm concluded in his history of the twentieth century, “the price of failure, that is to say, the alternative to a changed society, is darkness.”5)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본주의 발전의 물질적 모순 - 특히 지구 생태 환경의 비상사태 -는 여러 면에서 그 어느 때보다도 심각하다. 2007 ~ 9 년의 거대한 금융 위기 이후 그 실태가 완전하게 폭로된 이후, 세계적 독점-금융자본의 현 국면은 전례없는 수준의 불평등, 침체와 불안정성, 문명 파괴를 아랑곳 하지 않는 호전성, 환경파괴, 새로운 정치 - 경제의 반동적 형태가 분명해 졌으며, 이러한 상황은 현 세대뿐만 아니라 모든 세대의 미래, 바로 인류의 생존자체를 위협하고 있다. 에릭 홉 스봄 (Eric Hobsbawm)20세기의 역사를 "실패한 가치, 즉 변화된 사회에서 다시 선택할 수 있는 것은 암흑밖엔 없다."라는 말로 결론 내렸다.5)

 

Reaction on a World Scale

세계적 규모의 반동

 

If imperialist counterrevolution triumphed in the end over the revolutionary waves of the twentieth century, how are we to understand this, and what does it mean for the future of world revolution? The answer requires a survey, in desperate brevity, of the whole history of imperialist geopolitics over the last century.

제국주의 반혁명이 20세기 혁명운동에 대해 결국 승리했다면, 우리는 어떻게 이것을 이해해야 하는가? 그리고 이것이 세계 혁명의 미래에 대해선 무엇을 시사하는가? 이에 대한 대답을 찾기 위해 지난 세기 제국주의 지정학의 전체 역사에 대해 조사가 필요하나, 지면 관계상 극히 간결하게 정리한다.

 

The period from the mid-1870s through the First World War marked a qualitative break in the logic of capitalist development. Contemporary observers as early as the 1870s spoke of the “new imperialism,” to refer to a rapid increase in colonial acquisitions, the rise of new imperial powers, and a reemergence of inter-imperialist rivalries. It was in this phase of the system that monopoly capital capitalism dominated by giant industrial and financial firmsrose. Germany and the United States were rapidly entering the new age of heavy industry and advancing by leaps and bounds into the monopoly stage of capitalism, while Britain lagged behind in both respects.7) British hegemony over the capitalist world economy, dating from the Industrial Revolution, while still unrivalled in scale, was increasingly threatened under a new multipolar order of competing core states. The last three decades of the nineteenth century were years of economic stagnation, known in Europe at the time as the Great Depression. But it also represented an age of dramatic shifts in the locus of capitalist power.

1870년 중반에서 제 1 차 세계 대전까지의 기간은 자본주의 발전 논리가 질적 파열을 나타냈다. 현대의 연구자들은 1870년에 이미 식민지 취득의 급속한 증가, 새로운 제국의 권력의 부상, 그리고 제국주의 간 경쟁의 재발 등을 언급하면서 새로운 제국주의로 이야기 하고 있다.6) 이때는 자본주의 체제가 대기업과 금융 회사가 주도하는 독점 자본의 성장 국면에 접어든 시기였다. 독일과 미국은 자본주의의 독점 단계로의 도약과 급속한 중공업의 새로운 시대에 접어들었으나, 영국은 두 측면 모두에서 뒤쳐졌다.7) 산업 혁명으로부터 시작된 자본주의 세계 경제에 대한 영국의 헤게모니 (hegemony)는 이때까진 여전히 적수가 없었으나, 점차 자본주의 핵심국가들 간의 경쟁이 치열해져 새로운 질서의 재편을 강요받고 있었다. 19 세기의 마지막 30 년은 대공황으로 당시 유럽에서 대공황으로 인식했던, 경제 불황의 시기였다. 그러나 그것은 또한 자본주의 권력 핵심의 극적인 교체를 의미했다.

 

Observing these trends, proponents of imperialism in the major capitalist states developed the new pseudoscience of geopolitics, which focused on the struggle for hegemony in the world system. Geopolitics can be understood in Clausewitzian terms as war by other means, often leading to the actual outbreak of hostilities. It had its origins primarily in the United States and Germany in the

1890s, marking the rise of both nations as imperial powers. In the United States, the new outlook was best represented by Charles Conant’s “The Economic Basis of Imperialism” (1898) and Brooks Adams’s The New Empire (1902)oth of which projected U.S. political-economic hegemony over large parts of the globe, particularly the Pacific.8) The founder of the German school of Geopolitik was Friedrich Ratzel, who in the 1890s coined the term Lebensraum, “living space,” as an imperative of German policy. “There is in this small planet,” Ratzel wrote, “sufficient space for only one great state.”9)

이러한 경향을 예의주시하면서, 주요 자본주의 국가의 제국주의 주창자들은 세계 체제의 헤게모니 장악을 위한 투쟁에 초점을 맞춘 새로운 지정학을 개발했다. 지정학은 다른 수단에 의한 전쟁을 의미하는 클라우슈비츠 식(Clausewitzian) 용어로 이해 할 수 있으며, 종종 실제적인 적대 행위로 연결된다. 이것은 주로 1890년대 미국과 독일 양국의 제국적 권력의 증가를 의미했다. 미국에서는 찰스 코난트 (Charles Conant)"제국주의의 경제 기반"(1898)과 브룩스 아담스 (Brooks Adams)새로운 제국 (The New Empire, 1902)등에서, 미국이 세계의 상당히 큰 지역, 특별히 태평양에 대한 정치-경제적 헤게모니를 장악하기 위한 새로운 전망을 가장 잘 표현했다.8) 독일에서 지정학을 발전시킨 초석은 프리드리히 라첼 (Friedrich Ratzel)1890 년대에 "생활공간"이라는 용어를 독일의 필수적인 정책으로 자리 잡게 했다. Ratzel"작은 행성이지만 위대한 일국을 위해선 충분한 공간이 있다."라고 썼다.9)

 

However, what can be called classical geopolitical analysis only appeared in the interwar years and during the Second World War. Its leading British theorist was Halford MacKinder, a former director of the London School of Economics and for twelve years a Member of Parliament from Glasgow. In Democratic Ideals and Reality (1919), he wrote: “The great wars of history are the outcome, direct or indirect, of the unequal growth of nations.” The object of capitalist geopolitics was to promote “the growth of empires,” ending in “a single World-Empire.”10) MacKinder was famous for his doctrine of the Heartland. Hegemony over what he called the World-Island (the interlocked continents of Europe, Asia, and Africa) and through it control of the entire world, could only be achieved, he argued, by dominating the Heartlandthe enormous transcontinental landmass of Eurasia, encompassing Eastern Europe, Russia, and Central Asia. The Heartland was “the greatest natural fortress on earth,” because of its inaccessibility to the sea.11) In the new Eurasian age, land powernot sea power, as in past centurieswould be decisive. In Mackinder’s famous dictum:

그러나 고전적인 지정학적 분석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은 세계 대전 사이 기간에 그리고 제 2 차 세계 대전 중에 한정하여 나타났다. 런던 경제 학교 (London School of Economics)의 전 이사였으며 12년 간 글래스고 (Glasgow) 의회 의원이었던 영국의 이론가 할포드 매킨더(Halford MacKinder)는 그의 저서 [민주주의의 이상과 실제](1919)에서 다음과 같이 서술하였다. ; "역사의 거대한 전쟁은 국가 간 불평등 성장의 직 · 간접적인 결과이다." 자본주의 지정학의 목표는 "제국의 성장"을 촉진하는 것이며, "단일 세계 제국"의 수립이었다. 매킨더는 심장지대(Heartland) 이론으로 유명했다. 그는 세계의 섬으로 부른 지역(유럽, 아시아와 아프리카 대륙의 연동)에 대한 헤게모니와 전 세계에 대한 통제를 통해하기 위해서는 심장지대 - 유라시아, 동유럽 횡단, 러시아와 중앙아시아를 포괄하는 광범위한 범 대륙-를 지배해야만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심장지대는 해상으로는 접근이 불가능한 "지구상에서 가장 위대한 자연 요새"이다.11) 새로운 유라시아 시기를 맞이해서 육상권력-과거 수세기처럼 해양권력이 아니다-이 결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보았다. 매킨더 (Mackinder)의 유명한 경구가 이를 단적으로 드러낸다.

 

Who rules East Europe commands the Heartland:

Who rules the Heartland commands the World-Island:

Who rules the World-Island commands the World.12)

동유럽을 지배하는 국가가 심장지대를 다스린다.

심장지대를 지배하는 국가가 세계의 섬을 다스린다.

세계의 섬을 지배하는 국가가 세계를 다스린다.12)

 

Mackinder’s geopolitical strategy was influenced by the Russian Revolution, and used to justify imperialist counterrevolution. In 1919, the British government appointed him high commissioner for South Russia, responsible for organizing British support for General Denikin and the White Army in the Civil War. Following the Red Army’s defeat of Denikin, Mackinder returned to London and reported to the government that, although Britain was right to fear German industrialization and militarism, German rearmament, then ostensibly blocked by the Treaty of Versailles, was essential. For Mackinder, Germany constituted the chief bulwark against Bolshevik control of Eastern Europe, and thus of the geopolitical Heartland.13)

매킨더의 지정학적 전략은 러시아 혁명의 영향을 받았으며, 제국주의 반혁명을 정당화하는 데 이용되었다. 1919년 영국 정부는 그를 남부 러시아의 고등 판무관에 임명하였으며, 러시아 내전에서 반혁명군과 데니킨(Denikin) 장군을 지원하는 책임을 맡겼다. 적군이 데니킨을 패배시킨 후, 매킨더는 런던으로 돌아와서 영국이 독일의 산업화와 군국주의를 우려하는 것은 맞지만, 핵심은 베르사유 조약으로 표면상 차단된 독일의 재무장에 있다고 정부에 보고했다. 매킨더에게 독일은 볼셰비키의 동유럽 지배에 반대하는 주요 방어선에 해당하는 지정학적 심장지대였다.13)

 

Mackinder was not the only influential interwar figure to promote such beliefs. It was this same logic that led Neville Chamberlain’s government two decades later not so much to “appease” Nazi Germany, as to collude with it, in the hope that Germany would turn its guns eastward, toward the USSR. Indeed, the Treaty of Versailles, as Thorstein Veblen explained, was a “compact for the reduction of Soviet Russia,” which while “not written into the text of the Treaty,” could “be said to have been the parchment upon which the text was written.”14)

전쟁 중간 시기에 매킨더만이 이런 생각을 촉진하도록 영향을 준 유일한 사람은 아니었다. 20년 후, 네빌 체임벌린 정부가 독일의 총구가 소련이 있는 동쪽을 향하길 희망하면서, 나치 독일에 대한 "유화정책"이 필요 하다고 판단한 것도 같은 논리였다. 실제로 베르사유 조약에서는 쏠스타인베블런(Thorstein Veblen)이 설명했듯이 소련의 축소를 의도한 결정이었으나 "조약에는 공식적으로 기록되지 않도록"했으며, “조약을 작성한 후 조약의 양피지 표지를 덮어놓고 이야기한 내용이라고 할 수있다.14)

 

In Germany, the leading geopolitical theorist of the 1930s and ’40s was Karl Haushofer, the mentor of Rudolf Hess (Deputy Fürer in the Nazi regime), and himself a key adviser to Adolf Hitler. He saw the British and U.S. empires as the main threat to Germany, and thus advocated the creation of a great Eurasian intercontinental power bloc, with Germany entering into an alliance of convenience with Russia and Japan to destroy Anglo-American power. With the signing of the Hitler-Stalin Nonaggression Pact, he wrote: “Now finally, the collaboration of the Axis powers, and of the Far East, stands distinctly before the German soul. At last there is hope of survival against the Anaconda policy [the strangling encirclement] of the Western democracies.”15)

1930년대와 40년대 독일의 주요 지정학 이론가는 루돌프 헤스(나치 정권의 차관)의 멘토였던 칼 효소페르(Karl Haushofer)였으며, 그는 아돌프 히틀러 (Adolf Hitler)의 핵심 고문이었다. 그는 영국과 미국의 제국 정책을 독일의 주요 위협으로 보았고, 따라서 독일은 영미권력을 파괴하기 위해 러시아, 일본과 친선동맹을 맺으면서 위대한 유라시아 대륙간 파워 블록 창설을 주장했다. 그는 히틀러 - 스탈린 비침략 협정 (His-Stalin Nonaggression Pact)에 서명하면서 다음과 같이 썼다. "이제 마침내 추축국과 극동의 협력이 독일의 영혼 앞에 분명하게 나타났다. 마침내 서구 민주주의 국가들의 아나콘다 정책(포위압박상태)에서 벗어날 수 있는 생존의 희망이 보인다. "15)

 

In the United States, the foremost geopolitical thinker of the age was Nicholas Spykman. In America’s Strategy in World Politics (1942) and his posthumous The Geography of Peace (1944), Spykman opposed Mackinder’s Heartland, land-based geopolitical strategy, in favor of one that emphasized sea power. By controlling the coastal rimlands of Europe, the Middle East, East Asia, and the Pacific, the United States could encircle the Eurasian Heartland, then controlled by the USSR.

Spykman insisted on the need for an American-British hegemony over the globe, and was primarily concerned in The Geography of Peace with preventing the USSR from establishing “a hegemony over the European rimland.” The Soviet Union, he argued, would be unable to defend itself against “a united rimland.”16) Spykman’s geopolitics exerted a powerful if largely forgotten influence on U.S. foreign policy with the advent of the Cold War, including George Kennan’s strategy of “containment,” as well as the grand designs of the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같은 시기 미국 지정학의 선구자는 니콜라스 스파이크맨(Nicholas Spykman)이었다. [미국의 세계 정치 전략](1942)과 사후에 발간 된 [평화지리학](1944)에서 스파이크 맨은 지상구도에 근거한 지정학 전략에 반대하고 해양권력을 강조하면서 매킨더의 심장지대 이론에 반대했다. 유럽, 중동, 동아시아 및 태평양 연안 주변지역에 대한 통제를 통해 미국은 소련이 지배하고 있는 유라시아 심장지대를 둘러쌀 수 있다. 스파이크맨은 전 세계에 대한 미-영의 헤게모니 필요성을 주장했으며, 이것은 기본적으로 소련이 유럽 주요 전략지역에 대한 지배를 예방하는 것이라고 그의 저서 [평화지리학]에서 강조했다. 그는 소련이 주요 전략지역 연합을 방어하지 못할 것이라고 평가했다.16) 스파이크맨의 지정학은 미국 외교 협의회 (Council on Foreign Relations)의 방대한 디자인뿐만 아니라, 조오지 케넌(George Kennan)"억제 (containment)"전략을 포함하여 냉전의 도래와 함께 미국 외교 정책에 대해 전반적으로 잊혀졌던 영향력을 발휘했다.

 

In 1943, Mackinder underscored the global stakes for the U.S. empire, declaring in Foreign Affairs that “the territory of the Soviet Union is equivalent to the Heartland,” over which it could not be allowed to retain control.17) Washington’s initial geopolitical strategy adopted during the Second World War was intended to extend U.S. hegemony outward beyond what the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called the Grand Area of the British and American empires, to further encompass continental Europe, the Middle East, and the rimlands of Asia.18) In the new anticommunist crusade, revolutions were to be fought all across the globe, but especially in these strategic areas. Not only the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but a succession of leading Cold War and post-Cold War strategic planners, such as James Burnham, Eugene Rostow, Henry Kissinger, Zbigniew Brzezinski, and Paul Wolfowitz, would go on to argue in similar terms.19) Washington would ultimately set itself the wider objective of dominating states and regions throughout the world, as well as controlling strategic resources, capital movements, currencies, and world trade. However, the full extent of U.S. imperial ambitions was to become apparent only in the period of naked imperialism following the demise of the Soviet Union.20)

매킨더는 1943외교(Foreign Affairs)라는 잡지에 "소련의 영토는 심장지대와 동등하다"면서, 그래도 소련이 통제하지 못하도록 억제해야 한다면서, 미 제국의 세계적 지분을 강조했다.17) 2 차 세계 대전 중 채택 된 미국의 주요 지정학적 전략은 외교위원회가 요구했던 영국과 미국의 웅장한 제국 구상을 넘어서 유럽대륙 전체, 중동 및 아시아의 주요 전략지역에 이르기 까지 미국의 헤게모니 확대를 의도한 것이었다.18) 혁명이 세계의 모든 지역에서 투쟁해야 했더라도, 특히 이 전략지역에서는 새로운 반공 십자군 운동으로 인하여 더욱 그러했다. 외교위원회 만이 아니라, James Burnham, Eugene Rostow, Henry Kissinger, Zbigniew Brzezinski, Paul Wolfowitz와 같은 냉전 및 냉전 이후의 전략 입안자들은 비슷한 논의를 계승하였다. 미국은 궁극적으로 전략 자원, 자본 이동, 통화 및 세계 교역을 통제 할뿐만 아니라 전 세계 국가와 지역을 지배하는 보다 광범위한 목표를 설정하였다. 그러나 미 제국주의 야망의 보다 전체적인 내용은 소련의 붕괴 이후 이어진 벌거벗은 제국주의(naked imperialism) 시기에 이르러 분명해졌다.20)

 

The clearest official statement of this new global ambition was the Defense Planning Guidance for 19941999 (portions of which were leaked to the New York Times in 1992) overseen by Wolfowitz as undersecretary of defense for policy. This became known as the Wolfowitz Doctrine, commonly associated with the rise of neoconservatism. Intended as a direct response to the disappearance of the USSR from the world stage, it explicitly declared that the new goal of U.S. geopolitical strategy would be the indefinite prevention of the reemergence of any rival power that could threaten American supremacyhat is, the pursuit of a permanent unipolar world. “Russia,” the document stated, “will remain the strongest military power in Eurasia and the only power in the world with the capability of destroying the United States.”21) It thus continued to be the principal long-run target.

새롭게 작성된 미국의 세계적인 야망에 대한 가장 분명한 공식 문서는 국방부 정책차관 울포위츠가 전망한 1994-1999<국방 계획 지침> (1992뉴욕 타임스에 유출 된 내용)이었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신보수주의의 대두와 관련하여 <울포위츠 독트린>(Wolfowitz Doctrine)으로 알려졌다. 세계무대에서 소련이 멸망한 이후 직접적인 대응으로, 미국 지정학적 전략의 새로운 목표는 항구적인 미국 단일지배를 추구하기 위해 미국의 패권주의를 위협 할 수 있는 경쟁국가의 대두를 영원히 방지하는 것이라고 명시적으로 규정했다. 동 지침은 "러시아가 유라시아에서 가장 강력한 군사력을 유지할 것이며 미국을 파괴 할 수있는 능력을 가진 세계 유일의 힘"으로 남아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21) 이것은 결국 장기 목표로 채택되었다.

 

As Brzezinski, Carter’s national security adviser, put it in 1997 in The Gl0bal Chessboard, “the United Statesnow enjoys international primacy, with its power directly deployed on three peripheries of the Eurasian continent”western Europe and parts of Eastern Europe, Central Asia and the Middle East, and East Asia and the Pacific Rim. The goal, he argued, was to create a “hegemony of a new type” or “global supremacy,” indefinitely establishing the United States as “the first and only truly global power.”22) The new world order then envisioned was one of U.S. unipolar power, backed by nuclear primacy. Regime change in mid-level states considered of geopolitical significance and outside the U.S. empireven those previously tolerated in the context of the Cold Warbecame essential. Here the goal was not to create stable democraciesan objective never considered viable in key strategic areas such as the Middle Eastbut rather to destroy “rogue states” and unassimilated political blocs, particularly on the outskirts of the Eurasian Heartland and in the oil-rich Persian Gulf, that could threaten the security or hinder the expansion of the U.S. empire. The blowback from this grand strategy of destruction is most evident today in the rise of the Islamic State.

카터의 국가 안보 보좌관인 브레진스키는 1997[세계적 장기판](The Global Chessboard)에서 "미국은 이제 유라시아 대륙의 주변부 세 곳에 직접 군대를 배치하여 국제적 패권 우위를 누리고 있다"고 서술하였다. - 이곳은 서유럽과 동부 유럽 중부 지역 아시아 및 중동, 그리고 동아시아 및 환 태평양 지역을 의미한다. 그는 "새로운 유형의 헤게모니" 또는 "세계 패권주의"를 창출하는 것이 목표라고 주장하면서, 미국이 "유일하고 진정한 세계적 패권"을 무기한 달성하는 중이라고 서술 했다.22) 그다음 새로운 세계 질서는 핵의 절대 우위가 뒷받침하는 미국의 단일 패권이었다. 미 제국 (심지어 냉전 상황에서 시행된 내용임에도) 밖에서 지정학적 중요도를 고려한 중진국 수준 국가의 정권 교체는 필수적인 사항이었다. 이런 국가에서의 목표는 안정된 민주주의를 창출하는 것이 아니라 -중동과 같은 핵심 전략 지역에서는 결코 민주주의를 고려하지 않았다.- 오히려 특별히 유라시아 심장부의 외곽에 있거나, 페르시아만 석유생산 국가 중에 존재하면서도 미 제국의 팽창을 방해하거나 안보에 위협이 될 만한 "불량 국가"와 비동맹 국가에 대한 정치 블록을 파괴하는 것이었다. 이런 전략의 결말이 미국의 의도와는 전혀 반대방향으로 흘러갔다는 점이 이슬람 국가가 대두한 오늘에 이르러서는 분명해졌다.

 

The U.S. imperial grand strategy for the post-Soviet era first outlined in the Defense Planning Guidance had as its governing assumption the eventual resurgence of hostilities with a now capitalist Russia, as that nation inevitably recovered. In anticipation of this, the U.S. hegemon and its NATO allies expanded further into Eurasia and surrounding regions, engaging in wars in the Balkans, Central Asia, th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tightening the noose around Russia over the quarter-century from 1992 to the present.23) This same grand imperial strategy included the suppression of all anti-systemic movements and forces in key strategic areas in the periphery, as well as attempts to constrain China militarily and politically.

소련 멸망 이후 <국방 계획 지침>에 처음 제시된 미 제국의 전략에서는 이제 자본주의 국가가 된 러시아가 장차 국력을 회복할 경우 적대적 충돌이 불가피한 것으로 가정하고 있었다. 이런 전망에 기초하여 미국과 나토 동맹의 헤게모니는 유라시아와 주변지역으로 더욱 팽창하여, 발칸반도, 중앙아시아, 중동, 북아프리카에서 전쟁을 일으켰으며, 1992년부터 현재에 이르는 4반세기 동안 러시아에 대한 포위를 강화했다.23) 이와 동일한 대 제국 전략에는 중국을 군사적으로나 정치적으로 제한하려는 시도만이 아니라, 모든 반체제 운동에 대한 탄압과 핵심 주요 전략지역에 대한 군대 주둔도 포함하였다.

 

Following the September 11, 2001, terrorist attacks in the United States, the New World Order originally declared by George H. W. Bush took on the additional ideological mantle of the War on Terrorism introduced by George W. Bush. This justified a strategy of permanent war and “humanitarian interventions” throughout the global periphery. In its efforts to assert total dominance over the Middle East following the 2003 Iraq War, the United States, backed by NATO, designated

Iran andarticularly after the 2011 invasion of Libyayria as the leading Middle Eastern states sponsoring terrorism, making their demise its principal objective. Yet the real reasons for regime change in the Middle East and elsewhere, as Wolfowitz had intimated in the early 1990s to General Wesley Clark, were strictly geopolitical.24)

2001911일 미국에 대한 테러 이후, George W. Bush가 처음 기획한 신세계질서(New World Order)George W. Bush가 선언한 테러에 대한 전쟁을 위한 또 다른 이데올로기적 외투로 작용했다. 전 세계에 대한 "인도주의적 개입"과 영구적인 전쟁전략을 정당화했다. 이러한 노력으로 2003년 이라크 전쟁 이후 중동에 대한 총체적 통제를 주장하면서 미국은 나토의 후원으로 이란과 시리아(2011년 리비아의 침입이후)를 테러 지원 국가로 규정했으며, 원칙적으로 이렇게 규정한 목적은 두 국가의 멸망이었다. 그러나 울프 위츠 (Wolfowitz)1990년대 초 웨슬리 클락 (Wesley Clark) 장군에게 암시한 것처럼 중동과 다른 곳에서 정권 교체에 대한 진정한 이유는 엄격히 지정학적인 것이었다.24)

 

The Obama administration, together with its NATO allies, brokered the 2014 coup in Ukraine, putting in place a pliant far-right government headed by a Western-friendly oligarch, thereby proclaiming in no uncertain terms the New Cold War against Russia. This reflected a strategic campaign in the works since at least 2007, when Vladimir Putin defiantly declared that “the unipolar policy model [of absolute U.S. global supremacy] is not only unacceptable but also impossible in today’s world.”25) The long counterrevolution against the Soviet Union was thus extended into a geopolitical struggle aimed at a reemerging, now capitalist, Russia. The latter struck back by absorbing Crimea (formerly part of Ukraine) following a referendum; seeking to stabilize conditions in eastern Ukraine on its border, particularly with respect to Russian nationals; and intervening to counter the U.S.-Saudi-sponsored proxy war against the Assad regime in Syriahereby succeeding in preventing the toppling of its main Middle Eastern ally.

오바마 행정부는 NATO 동맹국들과 함께 2014년 우크라이나 쿠데타를 지원하여 서방 친화적인 집단이 주도하여 서방의 요구사항을 잘 수용하는 극우 정권이 들어서게 하였으며, 그리하여 러시아에 대한 조건을 특정하지 않은 새로운 냉전을 선포했다. 이것은 2007년 당시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이 "미국의 단일 패권주의 모델은 받아들일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오늘날의 세계에서는 불가능하다"는 내용을 선언한 이후 수립했던 전략 방침을 반영 하였다.25) 그리하여 오랜 기간 지속했던 소련에 대한 반혁명 책동은 이젠 자본주의국가 러시아를 겨냥한 지정학적 투쟁으로 확장하여 부활했다. 러시아는 국민 투표에 이어 우크라이나의 크리미아 (Crimea)를 공격하여 다시 합병했다. 이것은 특히 러시아 국민들이 살고 있는 우크라이나 동부 국경 지역의 상황 안정을 도모한 것이다. 아울러 미국 - 사우디가 후원하는 시리아 아사드 정권 타도를 노리는 대리전쟁에 개입하여 중동 동맹국가의 전복을 막는데 성공했다.

 

Remarkably, the new Trump administration, representing a somewhat different faction of the U.S. capitalist classeholden particularly to the fossil-fuel industry and financial sector and drawing heavily on a lower middle-class, ultra-nationalist ideologynitially signaled a geopolitical shift, aimed at déente with Russia. This was to be accompanied by a policy of concentrating on countering the Islamic State, Iran, North Korea, and China as the principal global antagonistsview associated with the “clash of civilizations” strategy of Samuel P. Huntington, as opposed to the Eurasian Heartland approach of Wolfowitz and Brzezinski.26) The incoming administration made it clear that China, with its rapid economic growth and increasing regional power, represented the main threat to U.S. hegemony (and U.S. jobs), and hence the main target of its imperial strategy.

놀랍게도, 미국 자본가 계급의 다소 다양한 분파, 특히 화석 연료 산업과 금융 부문을 중시하면서, 하위 중산층의 전폭적인 지지와, 초국가적 이데올로기를 기반으로 하여 새롭게 등장한 트럼프 정부는 러시아와 화해(데탕트)를 목적으로 한 지정학적 변화 의도를 드러냈다. 이것은 기본적인 적대세력으로 이슬람 국가, 이란, 북한, 중국에 집중하는 전략으로서 사무엘 헌팅턴의 문명의 충돌전략으로도 볼수 있는 것이며, 월포위츠와 브레진스키가 추진했던 유라시아 심장지대 전략과 반대의 내용이다.26) 차기 미 행정부는 중국이 급속한 경제 성장과 지역 패권을 늘려가고 있어, 미국의 헤게모니에 핵심 위협세력이라고 판단하고 있으며, 향후 미 제국 전략의 주된 목표가 되고 있다.

 

Nevertheless, the greater part of the U.S. military-industrial complex, from the Pentagon to the intelligence agencies to the major security contractors, has strongly resisted this shift away from Russia as the principal antagonisto the point of insinuating treason on the part of the Trump administration for its preliminary discussions with Russian officials, portrayed as collusion with the enemy. Hence, the administration has been subject to an unprecedented number of leaks from within the national security state, and has come under investigation for its communications with Russia during the campaign and the post-election transition. For dominant sections of the U.S. ruling class, it remains essential that Russia, occupying the Eurasian Heartland, and still constituting the chief nuclear rival, should remain the principal target of U.S. grand strategy. The stability of the NATO alliance, and the entire U.S. strategy of permanently subordinating Europe to its rule, is founded on the New Cold War with Russia.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방부에서 정보기관, 주요 보안 업체에 이르는 미국 군사복합체의 가장 핵심적인 영역에서, 적과의 내통으로 묘사한 트럼프 행정부와 러시아 당국자들과의 사전 토론에 대해 반역죄에 해당한다면서, 러시아와의 화해 정책에 강하게 저항했다. 그리하여 트럼프 행정부는 국가안보 차원에서 전례없는 많은 정보누출이 발생했고, 선거기간중이나 선거이후 정부인선과정에서 러시아와의 교류에 대한 조사를 받고 있다. 지금까지 미국 지배계급의 핵심 통제 영역으로 인식해 왔던 유라시아 심장지대를 차지하고 있는 국가는 러시아이며, 아직까지 미국의 대 전략의 기본적인 목표로 남아있다. 나토동맹의 안전성, 유럽의 항구적 대미 종속 전략은 러시아와의 새로운 냉전에 근거한 것이다.

 

For the U.S. ruling class, the strength of the U.S. economy, the supremacy of the dollar, and hence the financial power of Washington, are all seen as dependent on U.S. global primacy. Although U.S. GDP growth and that of the other core capitalist countries has stagnated, with the West losing ground economically to a rapidly developing China, the increasingly irrational geopolitical strategy coming out of Washington still has as its objective a unipolar world order. This is to be leveraged by an array of strategic assets, including the combined weight of the triad alliance of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Europe, and Japan under U.S. leadership; geopolitical dominance; military and technological power; and financial supremacy via the dollar.

미국의 지배 계급은 미국 경제의 강점, 달러의 우월성, 즉 워싱턴의 재정적 힘은 모두 미국의 세계적인 패권에 속한 것으로 보고 있다. 미국의 GDP 성장률과 다른 핵심 자본주의 국가들의 경제 성장률이 정체되어 있으며, 급속도로 발전하는 중국에 경제적으로 손실을 보고 있는 상황에서, 미국의 지정학적 전략은 여전히 세계의 단일 패권을 목표로 하는 점점 더 비합리적인 내용으로 변질되고 있다. 이것은 미국의 지도력에 따라 미국과 캐나다, 유럽, 일본의 강고한 3자 동맹의 안정화를 포함해서, 지정학적 지배; 군사 및 기술 력 장악; 그리고 달러를 통한 금융 시장 장악 등 일련의 전략적 자산을 지렛대로 활용하여 가능했다.

 

The aggressiveness of this imperial strategy can be seen in the U.S. pursuit of absolute dominance in nuclear weapons capabilities under the rubric of the “modernization” of all three legs of its nuclear arsenal. The object is to take full advantage of the fact that a weakened Russia fell behind for years in maintaining and modernizing its own nuclear weaponry, allowing the United States to pull decisively ahead. U.S. nuclear strategy is now predicated on the “death of MAD” (Mutual Assured Destruction), that is, the demise of the entire system of deterrence.27) Those formulating U.S. strategic doctrine increasingly believe that the United States is currently capable, while using only a small part of its nuclear arsenal, of destroying enough nuclear weapons of an opponent in a first strike (or counterforce attack)even in the case of Russiato prevail in a nuclear confrontation. In short, Pentagon planners now believe the United States has attained “strategic primacy” in nuclear weapons capability.28) This would make a first strike against any enemy on Earth “thinkable” for the first time since 1945, when Truman ordered the dropping of the atomic bombs on Hiroshima and Nagasaki, resulting in hundreds of thousands of civilian casualtiesin what was a political rather than a military decision, and the first real act of the Cold War.29) Ominously, with the imminent death of MAD, the other side too, in any period of nuclear tensions, has greater incentive to strike first, lest it be destroyed completely by a U.S. hegemon no longer restrained by fears of its own destruction in the event of a first strike on its part.30)

이처럼 공격적인 제국주의 전략의 채택은 미국이 핵무기의 세 영역 모두에서 "현대화"라는 미명하에 핵무기 능력의 절대적인 우위를 추구하는 데서 볼 수 있다. 이것의 목적은 수년간 러시아가 핵무기의 현대화 유지 실패로 인한 취약점을 활용하여 미국이 결정적으로 앞서 나가고자 하는 점에 있다. 미국의 핵전략은 이제 '상호확증파괴 전략의(MAD ; Mutual Assured Destruction) 폐기' 즉 억제 시스템 전체의 파괴에 근거를 두고 있다.27) 미국의 전략 원리를 입안한 사람들은 미국이 현재 핵무기의 극히 일부만을 사용해도 선제공격으로 적대국가의 핵무기를, 설령 러시아라 할지라도 충분히 파괴 할 능력이 있으며, 핵 대결에서 우세하다고 확신하고 있다. 요컨대, 미 국방부 관리들은 미국이 핵무기 능력에서 "전략적 우위"를 달성했다고 믿고 있다.28) 이것은 1945년 트루먼이 군사적 필요성 보다는 정치적으로, 또 첫 번째 냉전행동이라 할 수 있는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원자 폭탄을 투하하고, 결과적으로 수십만 명의 민간인 사상자가 발생시킨 사건 이후 처음으로 지구상의 어떤 적에 대해서도 선제공격을 하겠다는 것이다.29) 불행히도 상호확증파괴의 사망은 역시 지금까지의 핵긴장과는 전혀 다른 차원에서, 미국의 헤게모니가 흔들린다고 판단하여 적국에 선제공격을 할 경우, 자신도 파괴될 수 있다는 두려움 없이 상대방에 대해 핵 공격을 가할 수 있다는 확실한 인센티브를 갖게 하였다. 30)

 

“An essential feature of imperialism,” Lenin wrote, “is the rivalry between a number of great powers in the striving for hegemony.”31) Such dangers are redoubled over the long run when one capitalist nation, as in the case of the United States in the twenty-first century, seeks to create a unipolar world or superimperialist order.

레닌은 "제국주의의 본질적인 특징은 헤게모니 장악을 위한 여러 강대국 간의 경쟁"이라고 지적했다.31) 이런 위험성은 21세기 미국의 경우처럼, 한 자본주의 국가가 패권적 질서 혹은 단일패권을 창출하고자 할 때 더욱 가중된다.

 

In the second half of the twentieth century, the United States showed itself to be the world’s most destructive nation, killing millions in wars, invasions, and counterinsurgencies across the globe.32) This bloody legacy continues into the present: over a single Labor Day weekend, on September 35, 2016, the United States dropped bombs on or fired missiles at six largely Islamic countries: Afghanistan, Iraq, Libya, Somalia, Syria, and Yemen. In 2015, it dropped a total of over 22,000 bombs on Iraq and Syria alone.33) No country opposed to the United States can afford to underestimate the level of violence that could be directed at it by the U.S. hegemon.

20 세기 후반 미국은 전 세계를 통해 혁명운동 탄압과 침략, 전쟁으로 수백만명을 살해하여 세계에서 가장 파괴적인 국가로 부상하였다.32) 이러한 피의 유산은 현재에도 지속되고 있다. 201693일 노동절 주말에 미국은 아프가니스탄, 이라크, 리비아, 소말리아, 시리아, 예멘 등 이슬람 6개국에 폭탄을 투하하거나 미사일을 발사했다. 2015년에는 이라크와 시리아에만 총 22,000 개가 넘는 폭탄을 투하했다.33) 미국에 반대하는 어떤 국가도 미국의 패권이 자행하는 폭력의 수준을 과소평가 할 수 없다.

 

Revolution: The Human Future

혁명 : 인류의 미래

 

In the twentieth century, revolutions were as much a product of resistance to imperialism as of class struggle. They most often broke out, as Lenin observed, in the “weak links” of the imperialist world system.34) Inevitably, they were met with counterrevolution organized by the great powers of the capitalist core. Even a small uprising was likely to be seen as a threat to world capitalist rule, and was usually crushed with brutal force, as in Ronald Reagan’s massive 1983 invasion of the tiny island of Grenada, or the covert war against the Sandinistas in Nicaragua. The dominant ideology invariably blames the enormous human cost of this warfare on the revolutions themselves, rather than on imperialist counterrevolutions, which are rapidly erased from historical memory.

20세기에 발생한 혁명들은 제국주의에 저항한 계급투쟁이었다. 레닌이 지적한 바와 같이, 혁명은 대개 제국주의 세계 체제의 "약한 고리"에서 빈번하게 발생했다.34) 필연적으로, 혁명은 자본주의 강대국들이 조직한 반혁명 세력의 공격을 받았다. 심지어 규모가 작은 반란조차도 세계 자본주의 통치에 위협으로 판단될 경우, 로널드 레이건 (Ronald Reagan)1983년에 그레나다(Grenada)라는 작은 섬을 침략하거나, 니카라과의 산디니스타(Sandinistas)에 대한 비밀전쟁처럼 잔인하게 짓밟혔다. 지배 이데올로기는 변함없이 제국주의 반혁명으로 야기된 희생보다는, 혁명으로 인한 전쟁 비용을 비난하고 있으며, 그리하여 반혁명이 역사적인 기억에서 급속하게 삭제되고 있다.

 

In 1970, MR editors Harry Magdoff and Paul Sweezy were invited to the inauguration of Chilean President Salvador Allende, who had been democratically elected as the head of a Popular Unity government, which promised to introduce socialism in Chile, starting with the nationalization of U.S. corporate assets in the country’s major industries. Magdoff and Sweezy were longtime friends of Allende’s, and their analysis at the time of his inauguration focused on the dangers arising from the close connections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the Chilean military, suggesting the strong likelihood of a military coup to be sponsored by Washington and carried out by Chile’s praetorian guard. Imperialism, they warned, respects no rule of law where challenges to the existing order are concerned. And indeed, a bloody seizure of power, led by General Augusto Pinochet and engineered by the United States, occurred three years later, taking the life of Allende and thousands of others.35)

1970년 먼슬리리뷰 편집자 해리 맥도프(Harry Magdoff)와 폴 스위지 (Paul Sweezy)는 칠레에서 사회주의 도입을 약속한 통일 민중 정부의 수장에 민주적으로 선출 된 살바도르 아옌데 (Salvador Allende) 칠레 대통령 취임식에 초청 받았다. 그는 실제로 칠레의 주요산업에 있는 미국의 자산을 국유화하기 시작했다. 아옌데의 오랜 친구였던 맥도프와 스위지는, 취임 당시 시행한 분석을 통해서 미국과 칠레 군부 간의 긴밀한 연계 위험성을 중점제기 하였으며, 미국이 후원하고 칠레 근위대가 주도하는 군사 쿠데타의 가능성을 시사했다. 제국주의는 기존 질서에 대한 도전이 불법이라고 경고했다. 그리고 실제로 미국이 기획하고 아우구스토 피노체트(Augusto Pinochet) 장군이 이끄는 쿠데타는 3년 후 아옌데와 수 천명의 목숨을 앗아갔다.35)

 

All of this reaffirms the historical truth that there can be no socialist revolutionhowever it should arisehat is not also forced to confront the reality of counterrevolution. Indeed, in judging revolution and counterrevolution over the last century, particular stress must be put on the strength and virulence of the counterrevolution. The struggles and errors of the revolutionists are only to be seen in the context of this wider historical dialectic.

이러한 모든 사실은 반혁명과 내전을 겪지 않는 사회주의 혁명은 없다(그러나 발생해야 한다)는 역사적 진실을 재확인한다. 사실, 지난 세기 혁명과 반혁명을 판단 할 때, 특별히 반혁명의 강력함과 독성을 강조해야만 한다. 혁명가들의 투쟁과 실수는 폭 넓은 역사적 변증법의 맥락에서만 평가할 수 있다.

 

From history textbooks to the mainstream news media, the dominant ideology in the West today presents the Russian Revolution of 1917 as an utter failure from beginning to end. The USSR, we are told, collapsed under the weight of its own internal inefficiencies and irremediable defectsthough these accounts often claim almost in the same breath that it was U.S. power and military might that “won” the Cold War. It is undeniable that the history of the USSR was rife with historical tragedies and social and economic contradictions. Much of the enormous human potential that the Russian Revolution unleashed was exhausted in the devastating Civil Warin which the White Russian forces were directly supported by troops and arms from the West. The Soviet Union later fell prey to Joseph Stalin’s extreme collectivization and brutal purges.36)

역사 교과서에서 주류 언론에 이르기까지 오늘날 서구의 지배적 이데올로기는 1917년의 러시아 혁명을 처음부터 끝까지 완전히 실패한 혁명으로 평가한다. 냉전 기간에는 종종 미국의 경제력과 군사력의 "승리"라는 평가도 있으나, 우리는 소련이 내부의 비효율성과 구제 할 수없는 결함의 무게로 쓰러졌다고 평가한다. 소련의 역사가 사회경제적 모순과 역사적 비극으로 가득차 있음은 부인할 수 없다. 러시아 혁명이 제기한 위대한 인류의 가능성 중 상당 부분은 치열한 내전으로 대개 소진되었다. 러시아 반혁명 군대는 서구로부터 무기와 군대를 직접 지원 받았다. 소련은 이후 스탈린의 극단적인 집단화와 잔인한 숙청의 희생양이 되었다.36)

 

Nevertheless, the USSR over its history also underwent extraordinary industrial development, the conditions of the working class generally improved, and the population enjoyed certain economic securities lacking elsewhere. It was the Soviet Union that saved the West in the Second World War, beginning with the dramatic defeat of the Wehrmacht at Stalingradthe turning point of the warand the victorious westward march of the Red Army (though the war also took a huge toll: the USSR lost more than twenty million people). The Soviet Union’s very existence inspired movements for human liberation in the third world. With the growth of the Soviet bloc and the region’s economic and technological accomplishments, the position of the USSR in the world seemed secure well into the 1970s. Its central planning system, despite certain inefficiencies and a tendency to degenerate into an overly bureaucratized command economy, offered a new and in many ways successful approach to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in noncapitalist terms.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련은 역사를 통해서 특별히 산업 개발, 노동 계급의 조건을 전반적으로 개선하였고, 대중들은 이와는 다른 측면에서 특정영역이 부족한 경제 안보를 겪어야만 했다. 사실 제2차 세계대전에서 초기 독일군의 극적인 패배-전쟁의 전환점-와 붉은 군대의 서쪽 지역 승리 행진을 통해 서구를 구해낸 것은 소련이었다.(전쟁이 소련에 막대한 피해를 입히기는 했다. 소련은 2천만 명 이상을 희생했다) 소련의 존재는 제 3 세계의 해방 운동을 고양시켰다. 소비에트 블록의 성장과 당 지역의 경제 및 기술 성과로, 1970년대의 경우 세계에서 소련의 위치는 안정적인 것으로 보였다. 일정한 비효율성과 지나치게 관료화된 통제 경제로 변질하는 경향성에도 불구하고, 소련의 중앙 계획 체제는, 비자본주의적 방식으로 경제와 사회발전을 달성하는 새롭고 성공적인 다양한 경로를 제공했다.

 

But the USSR failed to carry forward the socialist revolution. The postrevolutionary society that emerged generated its own bureaucratic ruling class, the nomenklatura, which had arisen from the inequities of the system. The USSR’s stubborn refusal to allow independent development in Eastern Europe (albeit viewed as a necessary buffer zone against Western invasion) was made clear in the Soviet invasions of Hungary in 1956 and Czechoslovakia in 1968.37)

그러나 소련은 사회주의 혁명을 계속 수행할 수 없었다. 혁명 이후의 사회는 노멘클라투라라는 체제의 불평등에서 비롯된 관료 지배 계급을 창출했다. 소련은 1956년 헝가리의 침략과 1968년 체코슬로바키아의 침략으로 동유럽의 독자적인 발전을(서방국가의 침략에 대비한 완충지대가 필요하다는 관점에서)강력하게 거부하였다.37)

 

In the end, the USSR lost its inner dynamism, relying too much on extensive (the forced drafting of labor and resources) rather than intensive development (dynamic productivity from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the unleashing of creative forces). It was exhausted by a decades-long military, political, and economic contest with the West, forced to compete in a massive arms race that it could ill afford.38) For all their superficial promise, Mikhail Gorbachev’s misconceived and indeed disastrous glasnost (openness) and perestroika (restructuring) policies massively undid the system, rather than reforming it. Although the loss of Eastern Europe, symbolically marked by the fall of the Berlin Wall, contributed to this unraveling, it was the Soviet nomenklatura that proved to be the system’s final undoing, as numerous representatives of the Soviet power elite and a corrupted privileged intelligentsia, in alliance with Boris Yeltsin and the West, chose to dissolve the postrevolutionary state from abovebelieving that their own individual and class interests would be better promoted under capitalism.39)

결국, 소련은 집중 개발(창조력 고양과 기술혁신에 의한 비약적 생산성 증가)보다는 분산된 자원(노동과 자원의 강제 편성)에 너무 많이 의존하면서 내부 역동성을 잃어 버렸다. 서방과의 수십 년간의 군사, 정치, 경제적 경쟁으로 자원이 고갈되거나, 감당할 수 없는 막대한 군비 경쟁은 체제를 썩게 만들어 버렸다.38) 미하일 고르바초프의 오도 된, 참으로 비참한 글라스노스트 (개방)와 페레스트로이카(개혁) 정책은 체제를 개선하기 보다는 망쳐버렸으며, 모두 피상적인 말치레에 불과 했다. 베를린 장벽의 붕괴로 상징되는 동유럽의 상실은 소련의 해체에 기여했지만, 보리스 옐친이나 서방세계와 동맹을 맺은 소련의 권력 엘리트와 부패한 특권층 지식인들로 대표되는 상층집단에서 자본주의 체제가 개별 이해관계에 훨씬 유리하다고 판단하여 혁명후 국가의 해체를 선택하였다.39)

 

Yet in spite of all of this, the experience of the USSR, as the first major socialist break with the capitalist system, continues to inspire and to inform revolution in the twenty-first century. Hugo Chávez’s Bolivarian Revolutionthough it took an entirely different form and is now itself imperiled by a counterrevolution supported by the United Statescould hardly have been imagined without the Soviet example.40) The USSR’s extraordinary economic, technological, and cultural achievements are not easily erased in the historical memory.41)

이런 모든 상황에도 불구하고, 소련의 경험은 자본주의 체제를 뚫고 나온 최초의 사회주의로서 21세기의 혁명에 정보를 제공하며 혁명을 고무하고 있다. 우고 차베스(Hugo Cháez)의 볼리바르 혁명은 - 완전히 다른 형태이고 미국이 지원하는 반혁명으로 위태로워졌지만- 소련의 사례가 없었다면 상상하기 어려웠을 것이다.40) 소련의 특별한 경제, 기술, 문화적 성과는 역사적인 기억에서 쉽게 지워질 수 없다. 41)

 

The world capitalist crisis of the late twentieth century eventually engulfed the core capitalist nations themselves as they sank from the 1970s on into economic stagnationpartly counteracted by the financialization of accumulation in the 1980s and ’90s, which, however, ended with the bursting of the housing bubble in 20079. With the full onset of stagnation since the Great Financial Crisis, the positions of the working class and lower-middle class in the advanced capitalist states have plummeted. Inequality has reached its highest level in history, both within nations and globally.

1970년대 이후 경기침체에 빠지면서 결국 자본주의 핵심국가들이 20세기 후반 세계 자본주의 위기에 휩싸이게 된 것은, 부분적으로는 1980년대와 90년대 축적의 금융화에 대한 반작용이었지만, 그것 자체는 2007-9년 부동산 거품의 파열로 끝나 버렸다. 이후 대 금융 위기의 발발이후 완전한 불황이 시작되면서 선진 자본주의 국가의 노동 계급과 하위 중산층 계급의 위치는 급락했다. 불평등은 전 세계적으로 역사상 최고 수준에 도달했다.

 

So severe is this seemingly endless crisis that it has destabilized the state within the core capitalist countries. The ruling classes of the various capitalist countries have responded to the growing popular disenchantment by resurrecting the radical right as a kind of ballast for stabilizing the system. Neoliberalism has thus partially given way to neofascism, or what may prove to be a neoliberal-neofascist (or center right/radical right) alliance. In the United States, science itself is rejected as a threat to capitalism, with climate-change denial now the official stance of the Trump White House.42) The “destruction of reason” is thus complete.43)

자본주의 체제의 심각성은 핵심 자본주의 국가들 내부 상태를 황폐화시키는 끝없는 위기에 걸려 있다. 여러 자본주의 국가의 지배 계급은 체제 안정화를 위한 일종의 균형요법으로 극우적 방침을 부활시켜 증가하는 대중적 불만에 대응하고 있다. 신자유주의는 부분적으로는 네오파시즘 혹은 신자유주의-네오파시스트(또는 중도 우파 /극우) 동맹으로 가고 있다. 미국에서는 기후 변화를 부정하면서 과학 자체를 자본주의에 대한 위협으로 받아들이지 않고 있으며, 이제는 트럼프 백악관의 공식 입장이 되었다.42) 따라서 "이성의 파괴"가 완료되었다.43)

 

Reactionary forces have of course gained the upper hand many times before in the history of the class struggle, only to give rise to new revolutionary waves. Commenting on the defeat of the 1848 revolutions in Europe, Engels observed in Germany: Revolution and Counter-Revolution:

반동 세력은 물론 이전에 수차례 새로운 혁명적 파도가 고양될 때만 우위를 점했다. 1848년 유럽의 혁명에서 패배한 이후 엥겔스는 [독일 ; 혁명과 반혁명]이라는 글에서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A more signal defeat undergone by the continental revolutionary partyor rather partiesupon all points of the line of battle, cannot be imagined. But what of that?Everyone knows nowadays that wherever there is a revolutionary convulsion, there must be some social want in the background, which is prevented, by outward institutions, from satisfying itself. If, then, we have been beaten, we have nothing else to do but to begin again from the beginning.44)

대륙의 혁명 당파가 - 아니 좀더 정확히 말하면 혁명 당파들이-전선의 모든 지점들에서 당했던 패배보다 더 심한 패배는 좀체 상상하기 어렵다. 그런데 그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 . . 오늘날에는 누구나, 혁명적 격동이 있는 곳이라면 어디든지 낡아빠진 제도들이 방해하는 탓에 충족되고 있지 않은 사회적 욕구가 그 배후에 있기 마련이라는 것을 알고 있다. . . . 만일 우리가 패배한다 하더라도 우리는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면 되는 것이다.44)

 

 

Although the historical conditions have been transformed many times over, these sentiments still ring true. Given today’s ever more desperate need for social change, it is necessary “to begin again from the beginning,” creating a new, more revolutionary socialism for the twenty-first century. Massive, democratic, egalitarian, ecological, revolutionary change in both center and periphery represents the only truly human future. The alternative is the death of all humanity.

역사적 조건이 여러 번 변했어도, 이러한 감정은 여전히 진실이다. 현재 사회 변화에 대한 절박함이 대중들에게 있다 해도, 21세기를 향해 보다 혁명적인 사회주의를 창출할 수 있는,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는자세가 필요하다. 인류의 미래는 중심부와 주변부 모두에서 광범위하고, 민주적이며, 평등하고, 환경 친화적이면서, 혁명적인 변화로서만 보장할 수 있다. 이외의 다른 길은 모두 인류를 죽음으로 이끈다.

 

Notes

1. Karl Marx and Frederick Engels, “Preface to the Second Russian edition of the Manifesto of the Communist Party,” in Teodor Shanin, ed., Late Marx and the Russian Road (New York: Monthly Review Press, 1983), 13839.

2. The analysis differs here from most world-systems theory, which sees the successive hegemonies of the Dutch, the British, and the United States within the world-economy as essentially the same, denying the distinctiveness of the monopoly stage of capitalism.

3. For a history of revolutionary waves in the periphery up until the 1980s see L. S. Stavrianos,Global Rift: The third world Comes of Age (New York: Morrow, 1981).

4. Frederick Engels,The Condition of the Working Class in England(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93), 324; V. I. Lenin,Imperialism, the Highest State of Capitalism(Moscow: Progress Publishers, 1939),1314, 10608. on the shift of revolution to the third world and its impact on Marxian theory, see Paul M. Sweezy,Modern Capitalism and Other Essays(New York: Monthly Review Press, 1972), 14765.

5. Eric Hobsbawm,The Age of Extremes (New York: Vintage, 1994), 585.

6. R. Koebner and H. D. Schmidt,Imperialism: The Story and Significance of a Political Word, 18401960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65), 175.

7. E. J. Hobsbawm,Industry and Empire (London: Penguin, 1969), 17293.

8. Charles A. Conant, “The Economic Basis of Imperialism,”North American Review 167, no. 502 (1898): 32640.

9. Ratzel quoted in Robert Strausz-Hupé,Geopolitics: The Struggle for Space and Power (New York: Putnam, 1942), 31.

10. Halford Mackinder,Democratic Ideals and Reality (New York: Holt, 1919), 12.

11. Halford Mackinder, “The Round World and the Winning of the Peace,”Foreign Affairs 21, no. 4 (1943): 601.

12. MacKinder,Democratic Ideals and Reality, 186.

13. Brian W. Blouet,Halford Mackinder (College Station, TX: Texas A&M University Press, 1987), 17277.

14. Thorstein Veblen,Essays in Our Changing Order (New York: Viking, 1943), 464.

15. Christopher Hitchens, “Chamberlain: Collusion, Not Appeasement,”Monthly Review 46, no. 8 (January 1995): 4455; Clement Leibovitz,The Chamberlain-Hitler Deal (Edmonton, CA: Éditions Duval, 1995).

16. Nicholas John Spykman,America’s Strategy in World Politics (New York: Harcourt, Brace, 1942), 19, 45860;Geography of Peace (New York: Harcourt, Brace, 1944), 43, 57.

17. Halford Mackinder, “The Round World and the Winning of the Peace,” 598.

18. Noam Chomsky, “The Cold War and the Superpowers,”Monthly Review 33, no. 6 (November 1981): 110; Gabriel Kolko,The Politics of War (New York: Random House, 1968).

19. See John Bellamy Foster, “The New Geopolitics of Empire,”Monthly Review 57, no. 8 (January 2006): 914.

20. John Bellamy Foster, Naked Imperialism (New York: Monthly Review Press, 2006).

21. See Foster, “The New Geopolitics of Empire,” 912; Diana Johnstone, “Doomsday Postponed?” in Paul H. Johnstone,From MAD to Madness: Inside Pentagon Nuclear War Planning (Atlanta, GA: Clarity, 2017), 27577.

22. Zbigniew Brzezinski,The Grand Chessboard: American Primacy and Its Geostrategic Imperatives (New York: Basic, 1997), 3, 10, 3039.

23. Richard N. Haass, “The New Thirty Years War,” Project Syndicate, July 21, 2014, http://project-syndicate.org.

24. General Wesley K. Clark,Don’t Wait for the Next War (New York: PublicAffairs, 2014), 3740.

25. Putin quoted in Johnstone, “Doomsday Postponed?” 277.

26. Samuel P. Huntington,The Clash of Civilizations (New York: Simon and Schuster, 2011).

27. Johnstone, “Doomsday Postponed?” 275.

28. Johnstone, “Doomsday Postponed?” 27884; Keir A. Lieber and Daryl G. Press, “The New Era of Nuclear Weapons, Deterrence, and Conflict,”Strategic Studies Quarterly 7, no. 1 (2013): 314, “The Rise of U.S. Nuclear Primacy,”Foreign Affairs 85, no. 2 (2016): 4254; Hans M. Kristensen, Matthew McKenzie, and Theodore A. Potsoi, “How US Nuclear Force Modernization is Undermining Strategic Stability: The Burst-Height Compensating Super-Fuze,”Bulletin of the Atomic Scientists, March 1, 2017.

29. The dropping of atomic bombs was a geopolitical rather than military act, since the Japanese had already offered to enter negotiations for surrender. The United States, however, sought an immediate and unconditional surrender, to stop the Russian advance in Asia and to signal the immensity of U.S. military power. Use of atomic bombs against Japan was opposed at the time by the top generals and admirals within the U.S. military. As Diana Johnstone has argued: “the targets were not military, the effects were not military.” See Diana Johnstone, “The Dangerous Seduction of Absolute Power,” in Johnstone, ed.,From MAD to Madness, 1530; Gar Alperovitz,The Decision to Use the Atomic Bomb (New York: Vintage, 1996).

30. Johnstone, “Doomsday Postponed?” 27884; Cohn Hallinan, “These Nuclear Breakthroughs Are Endangering the World,”Foreign Policy in Focus, April 26, 2017.

31. Lenin,Imperialism, 91.

32. on casualties from U.S. warfare in the periphery, especially those of civilians, see John Tirman,The Deaths of Others: The Fate of Civilians in America’s Wars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11), 31636. on the history of U.S. military interventions from 1945 through the 1980s, see Gabriel Kolko,Confronting the Third World (New York: Pantheon, 1988).

33. Parts of this paragraph were taken from “Notes from the Editors,”Monthly Review 68, no. 6 (November 2016): inside covers. See Missy Ryan, “A Reminder of the Permanent Wars,”Washington Post, September 8, 2016; Micah Zenko, “How Many Bombs Did the United States Drop in 2015?”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blog, January 7, 2016, http://blogs.cfr.org; Tom Engelhardt, “You Must Be Kidding: The Exasperating, Never-Ending Sprawl of American Empire,”In These Times, September 23, 2016.

34. Lenin,Imperialism, 914.

35. Harry Magdoff and Paul M. Sweezy, “Peaceful Transition to Socialism?”Monthly Review 22, no. 8 (January 1971): 118; “Notes from the Editors,”Monthly Review 22, no. 7 (December 1970): inside covers.

36. Ian C. D. Moffat,The Allied Intervention in Russia, 19181920 (London: Palgrave Macmillan, 2015).

37. See Stephen Cohen, “The Breakup of the Soviet Union Ended Russia’s March to Democracy,”Guardian, December 12, 2006; Moshe Lewin,The Soviet Century(London: Verso, 2005), 348, 385; Samir Amin,Russia and the Long Transition from Capitalism to Socialism (New York: Monthly Review Press, 2016), 5758; Paul M. Sweezy,Post-Revolutionary Society (New York: Monthly Review Press, 1980), 11333.

38. Harry Magdoff and Paul M. Sweezy, “Perestroika and the Future of Socialism,”Monthly Review 41, no. 10 (March 1990): 113 and 41, no. 11 (April 1990): 17. The USSR operated on its production possibilities curve, relying on full capacity production, while monopoly-capitalist economies like the United States operated below their production possibilities curve, with substantial idle capacity. This meant that the former always faced a choice between “guns and butter,” while the latter was able to expand both guns and butterand indeed more butter because more guns. This understanding was the basis of “military Keynesianism.” on the role that U.S. military Keynesianism played in forcing the USSR into a damaging arms race, see John Bellamy Foster, Hannah Holleman, and Robert W. McChesney, “The U.S. Imperial Triangle and Military Spending,”Monthly Review 60, no. 5 (October 2008): 29.

39. Mikhail Gorbachev introduced the conditions that led to the downfall of the Soviet state, but it was Yeltsin who carried out the coup de grâce, going so far as to initiate an armed overthrow of the elected parliament, cheered on by the capitalist West.

40. This is quite literally so, since many of Chávez’s revolutionary ideas, as he often acknowledged, were drawn from Mészáros’s critique of the “capital system,” which encompassed the USSR, in István Mészáros, Beyond Capital (New York: Monthly Review Press, 1995).

41. See Amin, Russia and the Long Transition.

42. See John Bellamy Foster, “Trump and Climate Catastrophe,”Monthly Review68, no. 9 (February 2017): 117; “Neofascism in the White House,”Monthly Review68, no. 11 (April 2017): 130.

43. Georg Lukács,The Destruction of Reason(London: Merlin, 1980).

44. Frederick Engels,Germany: Revolution and Counter-Revolution (New York: International Publishers, 1969), 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