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자본의 반격 신자유주의에 대한 논의는 이제 금융으로 집중되고 있다. 그동안 신자유주의에 대한 비판은 민영화, 노동의 유연화, 정부규제 완화, 시장의 개방이라는 4가지 측면에서 집중 되어 왔다. 이제 신자유주의가 다름 아닌 사회와 자본에 대한 금융의 헤게모니 장악이라는 점이 선진국 마르크스주의 학자들 .. 책이야기 2007.01.25
강준만교수와 한국마르크스주의 학자들 사실 강준만 교수에 대해선 개인적으론 전혀 알지 못한다. 더군다나 그가 주장하는 논점에 대해 모두 다 맘에 드는 것은 아니다. 강준만 교수의 관점은 분명한 장점을 지니고 있지만 때론 현상에 머물고 있다는 생각도 들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글의 주제와는 상관없다. 오늘 이야기하려는 점은 ‘논.. 책이야기 2007.01.23
중산층의 몰락, 기생경제의 번영 -2 (‘중산층의 몰락, 기생경제의 번영 -1’에서 문장이 엉망인 경우가 있었습니다. 보신 분들께 사과드립니다. 직장생활하면서 바쁘게 쓰다보니 이런 현상이 벌어졌네요. 앞으로 조심하겠습니다. ) [Shortchanged, Life and debt in the fringe economy], Howard Karger 지음, Berret-Koheler 출판사, 2005년. (이 책의 한국어 번역.. 책이야기 2007.01.15
중산층의 몰락, 기생경제의 번영 -1 우리 사회가 양극화 되었다는 말을 자주 접한다. ‘양극화’는 무엇인가? 상위 소득계층과 하위 소득계층간의 격차가 벌어지는 것이다. 그러면 상위 계층과 하위 계층 가운데에 있다고 할 수 있는 중산층은 어떤가? 양극화는 바로 중간층이 없어진다는 말이기도 하다. 비록 미국의 실정을 다룬 것이지.. 책이야기 2007.01.15
신자유주의 이론의 파산 [ 사다리 걷어차기 ] 장하준 지음, 형성백 옮김, 도서출판 부키, 2004 [ 국가의 역할 ] 장하준 지음, 이종태 황해선 옮김, 도서출판 부키, 2006 신자유주의에 대한 비판은 쉴새없이 많았다. 그간 진행된 신자유주의 비판의 영역은 첫째, 이데올로기적, 정치적 비판, 둘째, 이론적 비판 두 가지가 있다. 실제적.. 책이야기 2006.12.28
롱테일 경제학의 오류 [롱테일 경제학], 크리스앤더슨 지음, 이노무브그룹 외 옮김, 랜덤하우스, 2006년 서울 ‘롱테일 경제학’은 소위 ‘히트상품’에 주목하기 보다는 팔리지 않지만 가치 있는 상품에 대해 인터넷이라는 환경이 만들어준 새로운 면을 중점적으로 서술하고 있다. 책에 대한 독자들의 서평을 보니 대부분이.. 책이야기 2006.12.19
부활(톨스토이) 처음 톨스토이의 '부활'을 읽은 것은 대학때였다. 글제목이나 글이 포함되어 있던 책 제목은 전혀 기억에 없는 백낙청 교수의 글속에서 부활이 언급되어 읽어보고 싶은 흥미가 생겼다. 백낙청 교수의 글은 문학이란 어떤 것인가에 대한 내용이었는데, 그 예를 '부활'로 언급했던 것이다. 톨스토이의 부.. 책이야기 2006.11.24
신자유주의의 신화와 실체 이글은 [Monthly Review]라는 잡지의 2006년 2월호에 실린 'Neoliberalism, Myths and Reality'라는 글을 번역한 것입니다. 원문은 잡지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무역자유화, FTA협정과 같은 신자유주의 정책이 일반적으로 어떤 결과를 초래하고 있으며, 신자유주의를 옹호하는 사람들의 주된 논리는 무엇인.. 책이야기 2006.07.08
자유주의 대안 [ 자유주의의 재검토 ] 후지와라 야스노부, 이용철 옮김, 백산서당, 2005 사회주의가 멸망하고, 자본주의가 지배하는 세상에서 살아가는 지금, 자본주의의 사상적 형태인 자유주의에 대해서 재검토하는 것은 쉬운일이 아니다. 위 책은 자본주의 대안으로서 강력하게 근 한세기를 지탱해왔던 사회주의는.. 책이야기 2006.06.24
유고 차베스 [Understanding the Venezuelan Revolution ] Hugo Chavez talks to Marta Harnecker, Translated by Chesa Boudin, Monthly Review Press, 2005, Newyork. 세계적으로 유명한 꼴통보수 '프랜시스 후쿠야마'는 차베스에 대하여 "베네수엘라의 유고차베스는 후지모리가 이미 페루에서 했던 것처럼 자신의 임기를 민주주의적 기구와 법치국가를 해.. 책이야기 2006.01.31